오늘은 지난번에 알아본 매출액, 매출원가, 영업손익, 판매관리비 다음 항목인 법인세비용 차감전 손익(영업외 수익과 비용)과 당기 순손익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법인세비용차감전 손익
법인세 차감전 손익은 영업손익에 영업외 수익을 가산하고 영업외비용을 차감하여 산출합니다. 산식으로 보면 법인세비용차감전사업손익=영업손익+영업외수익-영업외비용으로 나타납니다.
영업외수익
영업외 수익은 기업이 하는 주된 영업활동이 아닌 곳에서 발생한 수익과 차익으로 이자수익, 배당금 수익, 임대료, 단기투자자산 처분이익, 단기투자자산평가이익, 외환차익, 외화환산이익, 지분법이익, 장기투자증권손상차손환입, 투자자산처분이익, 유형자산 처분이익, 사채 상환이익, 전기오류 수정이익, 법인세 환급액, 잡이익, 자산 수증이익, 채무면제 이익, 보험차익이 있습니다. 각 비용에 대해 알아보면 이자수익은 돈을 빌려주고받는 이자를 말합니다. 예금이자, 정기적금 이자, 국▪공채 이자수입 외에도 대표이사이게 가지급된 금액에도 이자를 발생시켜 회사의 수익으로 봅니다. 배당금 수익은 주식배당금액을 제외한 현금배당과 건설공제조합 배당금같이 기업의 주식을 보유함으로 받는 현금배당을 말합니다. 임대료는 타인에게 회사의 부동산을 임대해 주고 집세, 사용료의 대가로 수취하는 금전액을 말합니다. 단기투자자산 처분이익은 만기가 1년 이내에 도래하거나 바로 현금화가 가능한 투자자산으로 주식 처분이익, 국▪공체 처분이익, 사채 처분이익처럼 단기매매 유가증권을 매입할 때 지불된 비용보다 더 많은 돈을 받고 팔았을 경우 생기는 차액에 대한 이익을 말합니다. 단기 투자자산평가 이익은 결산시에 생기는 계정으로 결산시 시가가 취득 시 또는 전기에 평가한 시가보다 높아진 경우 그 차액을 말합니다. 외환차익은 외화자산 상환 시 원화수취가가 외화자산 장부가액보다 큰 경우 또는 외화부채 상환시 외화부채장부가액보다 원화 상환액이 작을 경우에 차액에서 오는 이익을 처리하는 계정을 말합니다. 외화환산이익은 외화를 보유하거나 외화채권, 채무가 있을 때 결산시 원화로 환산 평가를 해야 하는데 이러한 평가에서 오는 이익을 말합니다. 지분법 이익은 투자주식을 취득할 때 원가로 인식하고 취득 이후 회사의 순장부 가액과 취득원가의 차액을 상각해 나온 손익을 말합니다. 투자자산 처분이익은 투자자산을 처분 시 장부가액보다 처분가액이 큰 경우 그 차액에 사용하는 계정입니다. 유형자산 처분이익은 유형 자산의 장부가액 보다 처분가액이 큰 경우 그 차액에 대해 사용하는 계정입니다. 사채 상환이익은 사채 상환 시 장부가액이 상환가액을 미달하여 지급할 때 그 차액을 처리하는 계정입니다. 잡이익은 영업외 수익 중 중요하지 않거나 소액이고 계정 설정에 구체적인 설정이 필요하지 않은 수익이 생겼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계정입니다. 자산 수증이익은 외부로부터 자산을 무상으로 증여받는 경우 생기는 이익을 말합니다. 채무면제 이익은 채권자에게 채무를 면제받아 변재의 의무가 없어지거나 감소할 때 생기는 이익에 사용합니다. 보험차익은 재해 또는 사고 시 신청한 보험금액이 피해 자산의 장부가액보다 많은 경우 그 차액에 사용하는 계정입니다.
영업외 비용
영업외 비용은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 이외의 활동으로 발생한 비용과 차손으로 이자비용, 기타의 대손상각비, 단기투자자산 처분손실, 단기투자자산평가손실, 외환차손, 외화환산손실, 기부금, 지분법 손실, 장기투자증권 손상차손, 매도가능 증권 처분손실, 유형자산 처분손실, 사채 상환손실, 전기오류 수정손실, 매출채권 처분손실, 재고자산 감모손실, 법인세 추납액, 잡손실이 있습니다. 이자비용은 단기차입금이자, 사채이자, 대출이자 등 남에게 돈을 빌려 쓰고 지불하는 이자에 쓰는 계정입니다. 기타의 대손상각비는 주된 영업활동 이외에 영업에서 발생한 채권에 대한 대손상각을 처리하는 계정으로 대여금, 미수금, 미수수익, 선수금 등에 대손액에 사용합니다. 단기투자자산 처분손실은 단기매매 유가증권을 취득할 때의 값보다 싸게 팔았을 경우 그 손해 차액에 대한 처리 계정입니다. 단기투자자산평가손실은 단기매매 유가증권의 취득 또는 전기의 평가한 시가보다 낮은 경우 사용하는 계정입니다. 외환차손은 외화자산을 상환받을 때 외화자산의 장부가액보다 작은 경우 또는 외화부채를 상환해야 할 경우 외화부채장부가액보다 클 경우 생기는 손실 차액을 처리하는 계정을 말합니다. 외화환산손실은 기업에서 보유한 외국통화를 기말 결산시 원화로 평가함에 있어 그 가치가 떨어지면서 생기는 손실 차액에 사용하는 계정입니다. 기부금은 불우이웃 돕기 성금, 수재의연금, 장학재단 기부금, 후원금, 경로잔치 지원금 등 영업활동과 관계없이 금전 또는 기타 자산 등을 타인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계정을 말합니다. 장기투자증권 손상차손은 투자한 주식 또는 채권의 공정가액이 하락해 장부가액과 공정가액이 손실 차액이 생길 경우에 사용하는 계정을 말합니다. 매도가능 증권 처분손실은 매도가능 증권 처분 시 취득원가보다 싸게 팔았을 경우 그 차액을 처리하는 계정입니다. 유형자산 처분손실은 유형자산 처분가액이 장부가액에 미달하는 경우 그 손실액을 처리하는 계정입니다. 사채 상환손실은 사채의 상환 시 사채의 장부가액을 초과하여 지급하는 경우 그 차액에 대한 손실액을 처리하는 계정입니다. 전기오류 수정손실은 전기 이전에 중대하지 않은 회계처리상 오류로서 순이익이 과대 계상된 경우에 차액을 처리하는 계정을 말합니다. 재고자산 감모손실은 상품 또는 제품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파손, 도난, 분실, 증발 등으로 장부상의 재고 수량보다 실제 재고 수량이 적은 경우 그 손실액을 처리할 때 사용하는 계정입니다. 잡손실은 가산금, 가산세, 철거비용, 연체료 등 그 내용이나 금액이 중요하지 않거나 구체적이지 않은 비용들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계정입니다.
당기순 손익
당기순 손익은 법인세비용차감전 순손익에서 법인세비용을 차감한 금액으로 중단사업손익이 있을 경우에 당기순손익은 계속사업손익에서 중단사업손익을 차감한 금액을 말합니다. 또한 중단사업손익이 없을경우에 당기순손익은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에서 법인세비용을 차감합니다. 총수익보다 총비용이 많으면 당기순손실이 되고, 총비용보다 총수익이 많으면 당기 순이익이 발생합니다.
'경리,회계,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이과세자에 대해서 (0) | 2022.07.14 |
---|---|
부가가치세 관리 신고 및 납부에 대해서 (0) | 2022.07.13 |
비용과 수익을 보여주는 손익계산서1. (0) | 2022.07.11 |
대차대조표상 부채 (0) | 2022.07.08 |
1년을 기준으로 하는 유동자산과 비 유동자산. (0) | 2022.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