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라는 말은 경리회계 지식이 없는 일반 대중들도 많이 들어 알고 계실 텐데요. 맞습니다. 남에게서 빌려온 재산을 부채라고 합니다. 회계에서도 남에게서 빌려온 재산을 말합니다. 부채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총 재산중 남에게 빌려온 재산을 말하고 유동부채와 비 유동부채로 구분합니다.
유동부채란
유동부채는 대차대조표일로부터 1년 또는 정상영업 주기 내에 상환되어 소멸될 것이 예상되는 부채를 말합니다. 유동부채에는 단기차입금, 매입채무, 미지급법인세, 미지급비용, 이연법인세 부채, 그 외 기타 유동부채가 있습니다. 단기차입금은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돈으로 금융기관에서 차입하거나 주임종(주주, 임원, 종업원) 단기차입금, 어음 단기차입금, 당좌차월,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마이너스통장 사용액, 대표자 가수금이 있습니다. 매입채무는 상거래로 구매한 자산의 미결재 대금에 대한 채무인 외상매입금과 원재료 재고자산을 구입하고 어음을 발행하여 지급한 지급어음이 있습니다. 미지급법인세는 회계연도말 현재의 법인세 등의 미 납부액을 말합니다. 미지급비용이란 이미 발생된 비용이지만 지급되지 않은 것을 말합니다. 미지급 비용에는 미지급이자, 미지급 사채이자, 미지급 급여, 미지급 임차료, 미지급 보험료 등이 있습니다. 이연법인세 부채는 일시적 차이로 미래에 부담하게 될 법인세 부담액으로 유동자산 중 당좌자산으로 분류된 이연법인세 자산과 상계한 후의 금액을 말합니다. 그 외 기타 유동부채에는 일반 상거래 이외에서 발생한 채무인 미지급금(상품이나 제품 구매가 아닌 물품의 구입, 용역의 제공, 개별소비세, 광고료 등)과 거래처로부터 상품 또는 제품을 주문받고 제공하기 전에 미리 수취한 대금인 선수금, 타인으로부터 금전을 받아 수취하고 제3자에게 금전으로 반환해야 할 채무인 예수금, 장기부채중 결산일로부터 1년 이내에 상환기간이 도래하는 부채인 유동성 장기부채, 충당부채 중 대차대조표 일로부터 1년 이내에 소멸될 것으로 예상되는 추정되는 단기 충당부채,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상 현금배당액으로 기말에 주주 등으로부터 배당금 지급 청구가 없어서 미 지급 상태로 남아있는 배당금인 미지급 배당금, 일시적으로 임직원에게 자금을 빌리는 가수금, 기업의 일반적인 상거래 외에서 발생한 채무로 유동부채에 속하지 않는 장기미지급금, 거래처로부터 상품 또는 제품을 주문받고 제공하기 전 미리 수취한 대금 중 유동부채에 속하지 않는 선수금인 장기선수금, 계약 후 대금을 수령하고 기말 결산일 현재 용역을 제공하지 않은 경우 유동부채에 속하지 않는 선수수익인 장기 선수수익이 있습니다.
비유동부채란
부채 중 유동부채에 해당하지 않는 부채로, 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전환사채, 장기차이금, 퇴직급여 충당부채, 장기 제품 보증 충당부채, 이연법인세 부채가 있습니다. 주식회사에서 자금조달을 목적으로 일정액을 표시하는 채권을 발행해 다수에게로부터 조달한 부채인 사채, 대차대조표 일로부터 1년 이후에 상환되는 사채 가액으로 유가증권 소유자가 일정한 조건하에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신주인수권부사채, 유가증권의 소유자가 일정 조건하에 전환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채로 권리행사 후 보통주로 전환되는 사채인 전환사채, 금융기관에서 빌려오고 사용 후 1년이 지나서 갚아도 되는 장기차입금, 회사의 회계연도말 현재 직원이 일시 퇴직했을 경우에 지급해야 할 퇴직금에 상당하는 금액인 퇴직급여 충당부채, 판매 후 품질을 보증하는 경우 그 위무를 이행하기 위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는 금액인 장기 제품 보증 충당부채, 일시적 차이로 미래에 부담하게 될 법인세 부담액 중 유동부채로 계상된 금액을 제외한 부분인 이연법인세 부채가 있습니다.
'경리,회계,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용과 수익을 보여주는 손익계산서2. (0) | 2022.07.12 |
---|---|
비용과 수익을 보여주는 손익계산서1. (0) | 2022.07.11 |
1년을 기준으로 하는 유동자산과 비 유동자산. (0) | 2022.07.08 |
경리가 알아야 하는 세금에 대해. (0) | 2022.07.04 |
경리 업무에 도움 되는 대행 서비스를 업으로 하는 곳. (0) | 2022.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