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우리의 생활방식은 계속 변화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던 상거래가 온라인으로 옮겨가는 것은 발전에 의한 순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로 인해 우리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물건을 사고팔고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달로 이 같은 인터넷을 이용한 비즈니스를 하는 디지털 기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자상거래의 개념
전자상거래의 유형을 보기전에 전자상거래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미 국방부의 정의에 따르면 전자상거래(EC, Electronic Commerce)는 종이에 의한 문서를 사용하지 않고 팩시밀리, 전자게시판, 전자우편, 전자자금이체 등 표준 전자문서를 컴퓨터 간에 교환함으로 즉시 업무에 활용하도록 하는 전자적 매체를 이용해 거래하는 것을 말합니다. 요즘에는 위의 미 국방부의 정의를 포함해 인터넷이나 PC통신을 이용해 물건을 사고파는 행위를 말합니다. 전자상거래가 보편화되지 못했던 과거에도 기업 간 문서를 전자적 방식으로 교환 거나 홈쇼핑, 홈뱅킹 등으로 전자상거래는 존재했었습니다. 전자상거래가 대중화가 되는 데에는 정보통신 기술과 정보시스템 개발기술의 발전 그리고 직관적으로 누구나 사용하기 쉬워진 데에 따라 대중화가 되었습니다.
전자상거래 유형
전자상거래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를 기반으로 가상의 공간에서 디지털 정보를 교환하면서 거래를 합니다. ICT는 정보기술과 통신기술의 합성어로 이러한 기
술들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 생산, 가공, 보존, 전달, 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말합니다. 전자상거래의 주체는 개인(Customer), 기업(Business), 정부(Government)가 되며 거래특성과 거래 방향에 따라 기업과 개인간(B2C, Business to Customer) 전자상거래, 기업과 기업 간(B2B, Business to Business) 전자상거래, 개인과 개인 간(C2C, Customer to Customer) 전자상거래, 개인과 정부 간(C2G, Customer to Government) 전자상거래, 기업과 정부 간(B2G, Business to Government) 전자상거래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각각의 주체 사이에 2는 to와 발음이 같아 대체해서 사용한 것으로 BtoB, BtoC, CtoC 등 to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니 그런 글을 본다면 같은 내용으로 보아도 됩니다.
B2C, 기업과 개인과의 거래
B2C는 기업과 소비자와의 거래를 말합니다. 가장 큰 예로 인터넷 쇼핑몰이 있습니다. 기업이 공급하며 개인이 소비하는 형태입니다. B2C는 기업이 인터넷상에 전자상점을 개설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형태입니다. 우리 같은 일반 개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형태입니다.
B2B, 기업과 기업과의 거래
B2B는 기업과 기업 간의 거래를 말합니다. B2B의 예로는 공급 기업과 수요 기업의 거래, 기업과 금융기관의 자금결재를 포함한 전자 거래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B2B는 부가가치 통신망이나 기업의 사설망 등 네트워크상에서 EDI(Electronic Date Interchange)를 사용해 기업 간에 주문을 하거나 송장을 받고 자금을 결재받거나 지불하는 것입니다. 초기에는 주로 원거리 업체인 무역업에서 사용하는 방법이었으나 점차 다른 업종으로 확산되어지고 있습니다.
C2C, 개인과 개인과의 거래
C2C는 개인과 개인과의 일대일 거래를 말합니다. 인터넷 상에서 소비자끼리 물건을 사고파는 것으로 옥션과 셀피아 등 경매사이트 또는 벼룩시장, 중고거래와 같이 소비자들끼리 인터넷을 통해 하는 직거래가 대표적입니다.
C2G, 개인과 정부 간의 거래
C2G는 개인(소비자, 국민)과 정부와의 거래를 말합니다. 각종 세금이나 부가세 등 인터넷으로 처리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B2G, 기업과 정부와의 거래
B2G는 기업과 정부와의 거래를 말합니다. 큰 예로는 조달청의 물품 판매 또는 공문서 교환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모바일 상거래
모바일 상거래(m-commerce)는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결재되는 모든 거래를 의미합니다. 단말기에 신용카드나 직불카드, 스마트카드가 탑재되어 인증과 결재를 처리하는 방법의 무선 전자상거래를 말합니다. M커머스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사용해 가치를 전달합니다. 인터넷 기술, 모바일 네트워크, 무선인터넷 환경이 보안등 좋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인터넷을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있고 전자상거래에도 익숙해지게 되었습니다. 모바일 상거래는 이러한 환경적 요인으로 점점 성장하고 있습니다.
'경리,회계,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에 대해서 (0) | 2022.08.11 |
---|---|
경리업무 중 매출 처리하기 (0) | 2022.08.10 |
시기별 경리 업무 (0) | 2022.07.29 |
경리업무시 알아야 하는 자주쓰는 용어 (0) | 2022.07.28 |
사장님의 아들이 일 할때 4대보험 (0) | 2022.07.26 |
댓글